파판 공략

서부전선 보즈야 공략

dsgertr 2024. 4. 21. 23:26

저도 사실 에우레카도 제대로 안한 쌉뉴비라 모르는 게 많아서 틀린 설명, 누락된 설명이 있을 수 있습니다. 혹시 잘못된 정보를 찾으신다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제대로 아는 게 없기 때문에 보즈야를 돌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 정보들만 담을 수 있도록 노력했습니다

 

랭크 Resistance Rank

Mettle를 쌓은 후 npc에게 말을 걸어 랭크를 올릴 수 있다. 승급 조건이 만족되었을 때는 해당 npc의 머리에 느낌표가 뜨니 그것으로 확인해도 된다.

자동적으로 승급되지  않으므로 랭크를 올리기 위한 Mettle가 충족되었다면 npc에게 가서 바로바로 랭크 업을 하자.

 

랭크가 상승할 때마다 보즈야의 메인퀘스트에 해당하는 퀘스트가 해금된다. 해당 퀘스트들은 보상이 쏠쏠한 것에 더해 특정 요소들을 해금시켜 주기도 하니 퀘스트가 팝업되면 바로바로 하는 편이 좋다.




전과 Mettle

필드에 돌아다니는 일반 몬스터를 잡는 것으로는 획득할 수 없으며, SkirmishCritical Engagement(CE)에 참가하여 얻을 수 있다. 보즈야에서 통용되는 경험치.

죽은 후에 무덤부활하면 떨구므로 죽었을 경우 가능하면 부활을 부탁하도록 하자.  단 Mettle가 랭크에 필요한 수치 이하로 떨어지더라도 랭크는 떨어지지 않는다




보즈야 클러스터 Bozjan Clusters

보즈야를 돌다보면 획득할 수 있는 화폐.

Forgotten Fragment나 기타 유용한 아이템들로 교환할 수 있다.

첫 번째 버튼은  다음 CE의 입장을 확정적으로 입장할 수 있게 해주는 건데, 웬만하면 쓸 일 없을듯…. 내 주위에 써 본 사람이 없어서 정확히 어떤 능력치인지는 모르겠음

 

*듀얼 확정 입장으로 이용해보라는 조언이 있었는데 직접 해본 적이 없어서 그게 될지는 모르겠네요




로스트 파인즈 홀스터 Lost Finds Holster

보즈야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스킬/ 아이템(lost finds)들을 빼와 등록해 사용할 수 있는 홀스터.

Lost Finds Cache에서 미리 등록해주어야 이곳에서 빼와 사용할 수 있다.




레지스탕스 등록 Resistance Recruitment

Critical Engagement(CE) 혹은 the battle of castrum lacus litore가 입장하기 위해 등록할 수 있다.

 

Register을 하고 제한시간이 지나면 입장 가능한 인원에게는 노란 버튼으로 Commence가 뜬다. 입장 후 CE 내에서 파티를 결성하거나 그 이전에 밖에서 미리 파티를 결성하고 가도 상관없다. 보통 CE 내에서 결성된 파티는 CE가 끝난 후 해체된다.

Skirmish와 CE

Skirmish는 기본적으로 돌발과 유사한 성격을 띈다. 에우레카처럼 일부러 소환작을 하지 않아도 일정 텀에 따라 계속 팝업되니 참여하여 Mettle, 클러스터, ~ Memories of the dying 등 필요한 아이템을 얻을 수 있다

 

CE는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직접 등록하여 입장하는 돌발의 한 종류로, 각각 인원 제한이 있고 대부분 토벌전의 형태를 띄며 제한된 공간에서 몹을 잡는 것으로 진행된다. 기본적으로 보상이 Skirmish보다 좋기 때문에 가능한 한 보일 때마다 참여하는 것이 좋다.

기본적으로 CE는 몹을 다 잡거나 CE 내 모든 인원의 전멸, 시간 초과가 일어났을 때 끝이 나지만 아직 전투가 시작하지 않은 CE의 경우 입장한 이후 나가고 싶다면 /return을 통해 등록한 에테라이트로 귀환하는 것으로 빠져나올 수 있다.

 

CE는 입장 이후 직업을 바꿀 수 없게 된다. 경험치를 획득해야 하는 직업이 있다면 가능한 한 CE 입장 전에 직업을 바꾸고 들어가는 것이 좋다. 보즈야에서는 전투 중이 아니라면 CE와 카스트룸을 진행 중인 게 아니라면 언제든 직업을 바꿀 수 있다. (단 직업의 레벨은 71이상이어야 하며 해당 직업은 무조건 80으로 조율된다)



Skirmish와 CE를 클리어했을 때 주는 경험치는 꽤나 쏠쏠한 편인데 특히나 던전매칭으로 올리기 힘든 딜러를 키우는 편이 좋다. Skirmish의 경우 기여도와 Mettle 등, 보상이 달라지지만 CE는 입장하여 클리어만 한다면 무조건 동레벨대의 Skirmish보다 경험치를 많이 준다. 또한, Skirmish와 CE의 난이도와 관계 없이 주는 경험치는 해당 직업의 실제 레벨에 비례하므로 레벨링이 주 목적이라면 최대한 많은 Skirmish와 CE에 참여하는 편이 좋다.

 

CE 입장 후 대기 중에 보통 CE를 함께 할 파티를 즉석에서 모으는데 이 때 손을 최대한 일반 채팅으로 손을 들어 파티에 참가하도록 하자. (아니면 다른 사람을 파티에 가입시켜도 좋다) 파티 전용 힐이나 파티 전용 공생기, 버프도 받을 수 없고 사망시 부활도 파티가 없는 사람보다는 받기가 쉽기 때문이다. 죽은 채로 CE가 클리어되어도 경험치는 받지만, CE가 끝날 때까지 누워있는 것이 싫다면 가능하면 파티에 참가하는 것이 나을 것이다.




듀얼 Duel

 

특정 종류의 CE는 노히트 클리어했을 경우 특정 몹과 일대일 다이다이를 뜰 수 있는 자격이 주어진다. Accept Challenge를 선택했을 경우 자격이 되는 유저들 중 랜덤으로 한 명을 뽑아 몹과 다이다이를 뜰 수 있게 된다.

 

딜러나 힐러의 경우 듀얼에 참가해도 따로 맷집을 단단하게 해주는 영약을 마시고 준비를 제대로 하지 않으면 평타 몇 방에 누워버릴 수도 있다. 제대로 준비를 하고 들어가는 것이 중요하다

 

듀얼의 종류는 세 종류가 있다.

 

듀얼에서 승리하면 상자를 99개 준다고 하니 실력에 자신이 잇으면 해볼 만 할듯 물론 개깐지 터지는 사람들의 환호는 덤임




 카스트룸 Casturm Lacus Litore

스토리를 밀다 보면 카스트룸을 1회 클리어하라는 퀘스트가 뜬다. 해당 퀘스트를 완료하게 되면 코인으로 필요한 왼쪽 장비를 교환할 수 있게 된다.

 

특수 CE인 the battle of castrum lacus litore(카스트룸)는 10랭크 퀘스트를 진행하면 입장할 수 있게 된다. 카스트룸의 자세한 공략은 아래 링크에 있음 (영어, 일본어)

 

 

카스트룸에 입장하면 인스턴스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어도 매 넴드마다 갱신되기 때문에 걍 뜨면 일단 누르고 보자.

 

CE나 Skirmish와 달리 카스트룸은 경험치를 안 준다. 그냥 가장 편한 직업 들고 가자. 카스트룸도 입장 이후 직업을 바꿀 수 없다. 직업 조합을 거의 안 타는 CE와 달리 사람이 적을 경우 30명 이하 입장했을 경우 직업과 파티원의 숙련도에 따라 클리어를 못하는 경우도 있기에 필요할 법한 직업을 들고 가는 편이 좋다.

 

엘리멘탈 서버에서 대중적으로 사용되던 카스트룸 매크로
/sh ①━┓┃┏━④ 
/sh  ②╋╋╋⑤ 
/sh ③━┛┃┗━⑥ 
/sh    ┃ 
/sh 1.各通路の先、3部屋あるうちのどこかに「捕虜」がいるので救出してください。 
/sh ※後に出る箱の数が変わります 
/sh 2.①③④⑥を優先しましょう 
/sh 3,②⑤に飛び降りて捕虜救出 
/sh 4.最後に3部屋のどこかにいる、ザコ2体の排除




로스트 파인즈 Lost Finds

보즈야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특수한 기술 혹은 특수한 아이템들. 힐러를 제외한 모든 직업군이 사용할 수 있는 cure와 단순 회복 물약부터 즉사 기술인 death와 딜러를 탱커만큼 단단하게 만들어주거나 탱커를 딜러만큼 강력하게 만들어주는 물약 등 다양한 기술과 아이템을 얻을 수 있다.

 

로스트 파인즈는 Forgotten Fragment of ~를 npc에게 가져다 주는 것으로 랜덤하게 획득할 수 있다. 획득한 로스트 파인즈는 각 체크포인트에 있는 Lost Finds Cache에서 확인하고 홀스터에 등록할 수 있다.

 

홀스터에 등록할 수 있는 액션(스킬)과 아이템의 무게는 제한되어 있으니 필요한 것들만 들고 다니는 것이 중요하다. 각각 액션과 아이템에는 사용할 수 있는 역할군의 제한이 걸려 있고(없는 것도 있음) 사용 횟수가 제한되어 있는 것도 있으니 잘 확인하도록 하자.

 

홀스터에 등록한 액션은 필드에서 홀스터를 클릭하여 듀티 액션에 각각 등록할 수 있게 된다. 한번에 등록가능한 듀티 액션은 두 개까지이며 이미 로스트 액션이 등록되어 있는 칸에 다른 액션을 등록할 경우, 등록되어 있던 액션은 사라지게 되므로 유의해야 한다.

 

듀티 액션 또한 스킬 키로 등록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필요할 경우 스킬 키로 따로 빼서 사용해도 좋다.

 

덧붙여서 Forgotten Fragment는 교환가능 아이템이다. 높은 랭크를 요구하는 fragment일 수록 유용한 액션이나 아이템이 잘 나오기 때문에 개당 가격 또한 상당히 비싸다.




필드 노트 Field Notes

레지스탕스의 주요 인물들에 대한 것들을 적은 노트 필기 아이템. 수집용이다. 사실 그 외에는 어디에 쓸모가 있나 모르겠다. 보즈야를 돌다 보면 가끔 떨굼

지금까지 수집한 필드 노트는 Duty> Collection > Field Record에서 확인할 수 있다.




상자깡 Bojzan Lockbox

보즈야를 돌다보면 줍는 lockbox는 이 친구에게 갖다주면 된다. 보즈야 내의 스펙업과는 관련 없는 아이템들을 준다. 가끔 탈것(가브리엘)도 나옴. 응 현실은 인디고스타

이미 수집해 필요가 없는 필드 노트는 Resistance Historian에게 가져가면 상자로 바꿔준다.




보즈야 코인 Bozjan Coin

카스트룸의 보상으로 얻을 수 있으며, 카스트룸을 클리어 한 이후 npc에게 보즈야 장비를 살 수 있는 화폐이다. 보즈야 장비는 무기와 허리띠를 제외한 왼쪽 장비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템렙은 495다. 해당 장비는 보강재를 통해 보강할 수 있는데, 보강재는 카스트룸에서 개인 드랍으로 얻거나 코인으로 바꿀 수 있다. 상하의 보강재의 경우 코인 999개, 그 외의 부위는 500개에 판매한다.

보강할 경우 상하의는 Haste가 2, 이외의 부위는 각각 Haste 1이 추가된다.

레지스탕스 무기 강화 Relic Weapons

485제 레지스탕스 무기를 장비한 이후 게롤트에게 말을 걸면 무기를 강화할 수 있는 파란퀘를 준다. 첫 번째 강화를 마치면 템렙이 500으로 뛰고 이후에 한 번 더 강화를 하면 무기를 뽑았을 때 영롱한 이펙트가 나온다. 빛작에서 옵은 안 바뀌는 것 같긴 한데 간지나니 멈출 수 없지 ㅇㅈ?

 

Augmented : 각각 Tortured, Sorrowful, Harrowing memories of the dying이라는 아이템을 각각 20개씩 모아와야 한다. 보즈야 내에서 얻거나 보즈야 밖에서 창천지역 돌발을 진행하는 것으로 획득할 수 있는데 솔직히 돌발이 훨씬 잘 모인다. 금장을 땄을 때 기준 100%로 드랍하는 듯. 해당 장비의 1단계를 무조건 인벤토리나 장비함에 넣고 있어야 Memories of the dying이 드랍되므로 제대로 확인하고 가자.

보즈야 내에서는 파란색, 노란색, 붉은색 순으로 쪼렙구역>고렙구역에서 드랍한다. 붉은색 메모리의 경우에는 맵의 상단 CE에서 얻을 수 있다고 보면 된다.

창천 지역 돌발로 메모리를 모을 경우, 각 지역 마다 드랍하는 메모리의 색이 정해져 있다. 다만 이 경우에는 파란색 : 저렙 / 붉은색 : 고렙이라는 공식이 성립하지 않으므로 다양한 지역의 돌발을 도는 것이 좋다.

 

Recollection : Bitter memories of the dying이라는 템을 6개 모아오면 된다. 보즈야 모든 구역에서 드랍하고 보즈야 외에는 무작위 레벨링, 혹은 60던전을 도는 것으로 획득이 가능하다. 60던전의 경우 확정드랍이며, 무기작 중인 직업이나 장비를 착용하지 않아도 상관없다.

던전을 돌 경우, 조율해제 했을 때는 비터 메모리를 주지 않기 때문에 조율해제를 하는 꼼수는 안 먹힌다.

 

레벨링 던전의 경우 하루 1회, 무작위 레벨링 보상을 받을 수 있을 때만 받을 수 있다. 둘 다 어떤 

직업으로 돌든 상관없다.

 

 

 

 

하고 싶은 말 : 스토리 스킵하지 마세요 재밌습니다

스킵해서 눈물 나는 멍청이가 하는 말임